요즘 언젠간 슬기로울 전공의 생활을 보면서 의사가 되는 과정이 궁금해졌는데요,
이번 글에서 의사가 어떻게 되는지 어떤 과정이 있는지 알아봅시다.
의과대학 (6년제)
1~2학년 : 기초과학 위주의 예과
3~6학년 : 본격적인 의학 교육 + 임상실습이 표함된 본과
고등학교 졸업 후 수능을 보고 의대에 진학 (수시/정시로 입학)
의학전문대학원 (4년제, 의전원)
대학교 졸업 후 의전원 입학시험(MEET등)을 통해 입학
4년간 의학 교육 수료
재는 대부분 의대 체제로 전환되었지만, 아직 일부 남아있음
본과 4학년(6학년 과정) 때 의사 국가시험 응시
합격 시 의사 면허증 발급 → 이때부터 ‘의사’ 자격을 가짐
대학병원 또는 수련병원에서 인턴으로 1년 근무
여러 과를 순환하며 지식 및 실무 수련
인턴 후 전공과 선택 (내과, 외과, 소아과, 정신과 등)
해당 과의 레지던트로 지원 → 전공의 시험 통과 후 수련 시작
- 내과, 외과 등 대부분 4년
- 가정의학과, 정신과 등은 3년
레지던트 마지막 해에는 전문의 시험 응시
레지던트 수료 + 전문의 시험 합격 시 → 해당 과의 전문의 자격 획득
전문의 자격 취득 후, 더 세부적인 분야를 전문적으로 배우는 과정
대학병원에서 펠로우(Fellow, 전임의) 과정을 1~2년 이상 함
특정 분야의 세부전문과 수련 (ex. 심장내과 중 부정맥 전공 등)
공 분야의 연구 업적, 수련 이력 등을 평가받고 의대 교수 채용
- 전임강사 -> 조교수 -> 부교수 -> 정교수 순으로 승진
부분은 대학병원 근무 + 의과대학 강의/연구 병행
전문의 자격, 전임의 경험
논문 및 연구 실적 (SCI 논문 등)
학회 활동, 강의 능력 등
의사가 되는 건 정말 어렵네요
의대부터 정말 가기 힘든것 같아요
통풍이란 무엇일까? 통풍 원인과 증상 (7) | 2025.05.21 |
---|---|
[미리내집] SH 장기전세주택 서류당첨 후기! (6) | 2025.05.20 |
얼굴에 생긴 무언가! 비립종인가요? (1) | 2025.04.10 |
의원내각제란? 대통령제와의 차이점은 뭘까? (2) | 2025.04.09 |
웨딩링 & 웨딩밴드 & 가드링 각각 차이점이 뭘까? (2) | 2025.03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