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언슬전보고 궁금해진 의사가 되는 과정!

잡다한 정보

by 잡다한요정 2025. 5. 11. 17:07

본문

반응형

요즘 언젠간 슬기로울 전공의 생활을 보면서 의사가 되는 과정이 궁금해졌는데요,

이번 글에서 의사가 어떻게 되는지 어떤 과정이 있는지 알아봅시다.

 

의사가 되어 일하는 모습
일하는 멋진 의사들

 

🩺 의사가 되는 과정

✅ 1단계: 의과대학 또는 의학전문대학원 입학

의과대학 (6년제)

1~2학년 : 기초과학 위주의 예과

3~6학년 : 본격적인 의학 교육 + 임상실습이 표함된 본과

고등학교 졸업 후 수능을 보고 의대에 진학 (수시/정시로 입학)

 

의학전문대학원 (4년제, 의전원)

대학교 졸업 후 의전원 입학시험(MEET등)을 통해 입학

4년간 의학 교육 수료

재는 대부분 의대 체제로 전환되었지만, 아직 일부 남아있음

 

✅ 2단계: 의사 국가시험 (국시) 합격

본과 4학년(6학년 과정) 때 의사 국가시험 응시

합격 시 의사 면허증 발급 → 이때부터 ‘의사’ 자격을 가짐


🏥 인턴·레지던트 수련 과정 (전공의 과정)

✅ 3단계: 인턴 1년

대학병원 또는 수련병원에서 인턴으로 1년 근무

여러 과를 순환하며 지식 및 실무 수련

✅ 4단계: 레지던트 3~4년

인턴 후 전공과 선택 (내과, 외과, 소아과, 정신과 등)

해당 과의 레지던트로 지원 → 전공의 시험 통과 후 수련 시작

- 내과, 외과 등 대부분 4년

- 가정의학과, 정신과 등은 3년

레지던트 마지막 해에는 전문의 시험 응시

✅ 5단계: 전문의 취득

레지던트 수료 + 전문의 시험 합격 시 → 해당 과의 전문의 자격 획득


🩻 펠로우(Fellow, 전임의) 과정

전문의 자격 취득 후, 더 세부적인 분야를 전문적으로 배우는 과정

  • 내과 → 심장내과 → 부정맥 펠로우
  • 정형외과 → 척추 펠로우
  • 영상의학과 → 복부영상 펠로우 등

 

🎓 의과대학 교수가 되는 과정

✅ 전문의 취득 이후

대학병원에서 펠로우(Fellow, 전임의) 과정을 1~2년 이상 함

특정 분야의 세부전문과 수련 (ex. 심장내과 중 부정맥 전공 등)

✅ 의대 교수 채용

공 분야의 연구 업적, 수련 이력 등을 평가받고 의대 교수 채용

- 전임강사 -> 조교수 -> 부교수 -> 정교수 순으로 승진

부분은 대학병원 근무 + 의과대학 강의/연구 병행

✅ 3. 필요 자격

전문의 자격, 전임의 경험

논문 및 연구 실적 (SCI 논문 등)

학회 활동, 강의 능력 등

 

의사가 되는 건 정말 어렵네요

의대부터 정말 가기 힘든것 같아요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